[Linux] '리눅스'란 무엇인가?
리눅스(Linux)란,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이다.
(운영체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맥 OS, 리눅스 등
리눅스의 특징
- 무료 오픈소스 운영체제
- 멀티유저(다중 사용자), 멀티태스킹(다중 작업) 지원
- 안정적
리눅스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는 무료라는 점이다. 유닉스, 윈도우즈 등의 운영체제는 유료로 이용 가능한데
웹, 앱, 데이터 등을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기업에서 모든 컴퓨터에 유료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때문에 리눅스가 주로 사용된다.
대부분 서버에서 리눅스 운영체제를 사용할 때는 CLI(Command Line Interface)환경으로 사용한다.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CLI):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 명령어를 한줄한줄 입력)
- 서버의 메모리를 조금이라도 덜 사용하기 위해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환경을 사용
Linux의 요소
1. 커널
OS의 기본 구성 요소. 시스템 리소스를 관리, 하드웨어와 통신, 메모리, 프로세스, 파일 관리를 담당
2. 시스템 사용자 공간
설정, 소프트웨어 설치 등의 시스템 수준의 task를 위한 관리 공간, 테스크톱 환경이 포함
3. 애플리케이션
task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리눅스 배포판
리눅스 커널(리눅스)에 여러 프로그램을 붙여 배포된 OS - 우분투, 페도라, 센트OS 등
리눅스 배포판 특징
Fedora(페도라) - 레드햇의 선행 프로젝트 리눅스, 레드햇 리눅스에 적용될 기능을 테스트하기 때문에 업데이트 후 에러가 생길 수 있음. 대신 최신 기술을 먼저 사용할 수 있음
OpenSUSE(오픈수세) - 수세리눅스의 선행 프로젝트 리눅스, 페도라에 비해 안정적
Ubuntu(우분투) -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CentOS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리눅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
CentOS(센트OS) - 레드햇 리눅스의 무료 버전, 우분투에 비해 가벼우며 안정성 보장